집단의 형성과 발달 과정

 인간은 일생을 살아가면서 항상 무언가의 집단에 속해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교, 동아리, 회사, 동호회 등 우리는 집단 속에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집단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떻게 기능하며 발전해 가는 과정은 어떠한지 알아본다.


1. 집단의 형성

개인이 왜 집단을 형성하는가에 관한 이론은 매우 다양하며 대표적 이론은 다음과 같다.

1) 근접이론

근접이론에 따르면 지리적이나 공간적으로 가까이 있기 때문에 개인들은 집단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수업시간에 가까이 앉아 있는 학생들끼리 집단을 형성하며 멀리 앉아 있는 학생들과는 같은 집단을 형성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조직에서 다른 부서나 다른 공장에 근무하는 사람보다는 같은 부서나 공장에 근무하는 사람끼리 집단을 형성한다.

2) 공유이론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은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고 서로 좋아할 가능성이 높다. 마찬가지로 상호작용이 빈번하면 여러 가지 활동을 공유하며 서로 좋아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서로 좋아하면 여러 가지 활동을 공유하고 상호작용의 빈도도 높게 된다. 예를 들어 집단구성원들은 목표를 공유하고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서로 좋아할 가증성이 높다.

3) 균형이론

균형이론에 따르면 유사한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서로 매력을 느끼며 집단을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회사의 정책에 대해 반대하는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서로 매력을 느끼며 집단을 형성하게 된다. 만일 회사정책에는 반대하는 사람들이지만 다른 사항에 대해 서로 다른 태도를 가지면 균형을 유지하려고 애쓴다. 만일 균형이 유지되지 못하면 그들의 관계는 깨지게 된다.

4) 교환이론

교환이론은 비용-수익의 개념에 의존하는 것으로 상대방과의 상호작용에서 최소한의 이득이 있는 경우에만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관계가 유지된다.


2. 효과적인 집단 형성

위의 4가지 이론을 기초로 조직에서 집단을 형성할 때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효과적인 집단을 형성할 수 있다.

- 집단의 주요 특징은 대면 상호작용이므로 지리적, 공간적으로 가깝게 배치를 해야 한다. 칸막이를 해서는 안 되며 개방적인 사무실을 만들어야 한다.
- 유사한 활동을 공유하도록 해야 하므로 집단의 목표를 서로 공유하도록 해야 한다. 일 이외의 여가활동 역시 공유토록 함으로써 상호작용의 빈도를 높이고 서로 좋아하게끔 해야 한다.
- 유사한 태도를 가진 사람을 같은 집단으로 묶어야 한다. 태도가 다르면 서로 매력을 느끼지 못하므로 갈등이 야기될 소지가 많다.
- 구성원들간의 교환관계에서 이득이 서로에게 돌아가게끔 집단을 형성해야 한다. 만일 손해가 발생하면 더 이상 교환관계가 일어나지 않게 되고 상호작용 역시 빈도가 떨어지게 된다.


3. 집단발달과정

집단이 형성되고 나면 일반적으로 동일한 단계를 거쳐 집단은 발전하게 된다.

1) 형성기

집단이 처음 형성되었을 때 구성원들은 집단의 목적이나 업무, 집단의 구조나 리더십 등에 대해 명확한 개념을 가지기보다는 불확실성과 혼란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형성기에는 구성원들이 서로 탐색을 하면서 서로를 아는 데 초점을 두게 된다.

2) 격동기

격동기에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역할과 의무에 대해 서로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갈등이 야기된다. 이 시기에는 구성원들 개인이 가지는 성격이 그대로 표출되면서 다른 구성원과 화합하지 못한다. 심지어는 집단의 목표나 사명에 대해서 의견일치를 이루지 못한다. 따라서 단합이나 응집력 측면에서 가장 낮다고 볼 수 있다.

3) 정착기

정착기에 들어서면 구성원들간 갈등이 해결되고 단합이 이루어지며 구성원들간에 조화가 이루어진다. 이 시기에 비공식적 집단에서는 누가 집단의 리더가 되는가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고, 누가 어떤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합의가 이루어진다. 구성원들은 집단정체성을 가지며 집단의 일원임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4) 성과 달성기

성과 달성기에서는 집단목표의 달성이 이루어진다. 구성원들은 집단목표와 사명에 대해 공감하고 집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헌신한다. 빈번하게 상호작용하며 의견의 불일치에 대해 조정을 함으로써 효과적인 집단이 된다.

5) 해체기

집단은 영속성이 있지만 조직에서의 프로젝트 팀이나 태스크포스 팀 등은 팀의 목표가 달성된 후 해체되기 마련이다. 팀원들은 성취기에서 문제해결방법을 습득하여 원래의 소속 팀이나 부서로 원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경험이 차후에 있을 프로젝트 팀이나 태스크포스 팀에서 중요한 구실을 하게 된다. 

댓글